IPv4에 대해 알아보자
IP란 흔히 게임 채팅에서 “너 아이피 딸거야” 라는 말로 일반인들은 들어볼 듯한 단어, 간단히 말하면 인터넷 상의 주소 체계이고 단어를 풀어보면 Internet Protocol의 약자로, 인터넷이 통하는 네트워크에서 어떤 정보를 수신하고 송신하는 통신에 대한 규약을 의미합니다
1977년에 ISO 국제표준으로 등록이 되었고 2011년부터 인터넷 할당 번호 관리기관에서는 할당 중지를 선언하고 한국은 아직까진 모뎀 하나에서 열몇개의 IPV4가 나오는걸 보니 문제는 없어보이지만 중국,인도같은 인구가 많은 국가에서는 큰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만 돈으로 해결이 가능
나는 솔직히 고갈같은거 해봤자 아직까진 돈으로 /24 빌릴 수 있으니까 관심은 없고 서브넷과 수량만 작성할게요 (어처피 내가 볼려고 쓴거라서
1. how does it work
아이피는 최대 4개의 3자릿수 숫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0.0.0.0 ~ 255.255.255.255
만약 집에서 쓴다면 크게 공인아이피와 사설아이피로 구별을 하는데 진짜 쉽게 말하면 공인아이피는 님이 실제로 인터넷 상에 나갔을때 다른 사람들에게 보이는 아아피이고 사설아아피는 퀵쉐어, 화면미러링, 무선프린터 등등을 사용할때 집 안에서 다른 기기와 소통할때 쓰는 아아피 입니다. 사설 아아피 대역은
192.168.0.0/16
| 192.168.0.0 에서 192.168.255.255 까지의 주소를 포함, 가장 많이 쓰이는 내부망 대역172.16.0.0/12
| 172.16.0.0 에서 172.31.255.255 까지의 주소, 주로 ASUS나 KT공유기에서 볼 수 있음 (약간 멋짐)10.0.0.0/8
| 10.0.0.0 에서 10.255.255.255 까지의 주소, 주로 클라우딩 서비스에서 VPC서비스에 자주 나오며 소비자 층에서는 샤오미의 플래그쉽 공유기 개열에서 볼 수 있다.내가 가장 좋아하는 대역100.64.0.0/10
| 100.64.0.0 에서 100.127.255.255 까지의 주소, 일반적인 공유기에서는 볼 수 없으며 주로 Tailscale 이나 WireGuard 등 터널링 서비스에서 만나볼 수 있다. 또는 중국의 China Telecom 통신사에서 모뎀의 WAN IP를 보거나 PPPoE로 아아피를 받아보면 마주칠 수 있는 대역
2. IP Subnet Mask
위에서 막 /16 /24 /8 에 각각 특정한 범위의 아이피 갯수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이것은 바로 아아피 서브넷 마스크라고 불리는데 from what i know 아아피 갯수를 표시하는데 쓰입니다 (틀릴수도 있음)
길이 | 아이피 갯수 | 마스크 | |
---|---|---|---|
/31 | 2¹ = 2 | 255.255.255.254 | |
/30 | 2² = 4 | 255.255.255.252 | |
/29 | 2³ = 8 | 255.255.255.248 | |
/28 | 2⁴ = 16 | 255.255.255.240 | |
/27 | 2⁵ = 32 | 255.255.255.224 | |
/26 | 2⁶ = 64 | 255.255.255.192 | |
/25 | 2⁷ = 128 | 255.255.255.128 | |
/24 | 2⁸ = 256 | 255.255.255.0 | 가장 많이 쓰임 |
/23 | 2⁹ = 512 | 255.255.254.0 | |
/… | … |
그냥 이 표를 계속 찾아보기 귀찮아서 쓴거라서 여기까지